Search

Sprint2 Retrospective

Date
2025/05/05 20:00-23:00
Status
완료
모집/모임 위치
주체
그룹원 전체
일정 관리자
공개/비공개
Loading PDF…
팀에 국한되지 말고 소규모 스터디를 진행하면 좋을 것 같다.
→ 지난번에 공유해준 것처럼 모르는 사람들끼리 스터디를 해서 노션에 정리하는 것
→ 스터디 논의 (다같이 모여있는 잡담 단톡방)
선택 참여(희망 인원만)

Music Team

Music Team Sprint Review.pdf
1023.3KB
재은님 작성하신 날씨 백로그 코드 등 내용은 github이나 notion에 공유된 것이 있을까요?
업데이트 예정

Image Team

Image Team Sprint Review.pdf
3952.6KB

Text Team

아이디어 기록

Marketing Team

회의
미팅통해서 UX 리서치를 진행하는데 여러 한계를 목도
페르소나 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
파악하는 데에 시간이 좀 걸림
개발 스펙/경험 공유 자리를 가짐
Dify에서 워크플로우를 구성을 해봄
업무 범위 파악, 워크플로우 설계, 기술 기반(노션 MCP - 마크다운 형식)
데이터 수집 관련해서 Q
완전 오픈된 웹 세상에서 모든 정보를 가져와서 어떻게 아카이빙 할지? 에 대해 고려중
→ 그래서 데이터베이스를 고려중
플로우가 어디가 스타팅인지 감이 안옴.

FGI Team

데이터 수집 관련해서 Q
마케팅 팀에서 트리거를 받으면 웹, 유튜브 콘텐츠, 위키피디아에서 콘텐츠를 가져옴
Vector DB는 고려하지 않음
FGI 쪽에 요청하지 않아도 과거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고민중
Search
회고
Notion System 관련 사항
Github System 관련 사항
Kakaotalk 공지 시스템 관련 사항
Workflow/Architecture 설계 관련 사항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체크해주세요.
기타 사항
총평
조금 이해하는데 어려웠다.
항상 열정적으로 공지 올려주셔서 감사했습니다.
충분히 공감할만한 워크플로우였다
온보딩이 힘들었다.
없습니다.
System에 대해 만족한다.
없습니다.
없습니다.
- 초기 정의된 역할과 실제 수행 간 괴리 * 초기 설명: Education 영역은 블로그/콘텐츠 생성 중심으로 기획 * 실제 수행: 교육보다는 개별 실험과 LLM 기반 학습 중심으로 진행 * 문제점: 실질적 활동과 주제 간 불일치로 인해 팀 내 활동 방향성 혼란 - 주제 선정 및 팀 정체성 혼선 * 구성원 누구도 UX/UI에 지식/역량 없음 * 그럼에도 해당 방향으로 워크플로우가 설계되어 몰입도 저하 * 결과: 팀이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고 느껴짐
시스템의 투명성이 낮다.
없습니다.
System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없습니다.
없습니다.
[기술 관심사의 불균형] * 모두 LLM에 관심, 반면 서버/프론트/백엔드에는 관심 부족 * 현재 아키텍처 설계는 UI/서버 구조에 많은 비중 * 실행 단에서 책임지거나 주도하는 사람이 없어 실행력 저하 [자율성 부족과 실험의 제약] * 초기엔 자율성이 보장된다고 설명되었으나, 실제로는 방향성이나 업무 구조가 정해져 있어 자율성이 제한됨 * 구성원들은 각자 시도하고 싶은 아이디어가 있음에도, 이를 실험하거나 발전시킬 자유도가 낮다고 느낌 * 결과: 자율적 탐색보다는 정해진 구조 내에서 소극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구조적 한계 발생
그룹의 전체 사상에 공감이 힘들었다.
없습니다.
System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미래가 불투명해보인다.
온보딩이 힘들었다.
고려해야 할 요소가 너무 많다고 느껴진다.
System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전체 프로젝트 인원이 모여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방이 따로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온보딩이 힘들었다.
전체 스프린트 회의를 통해 다른 팀 회고를 들으며 어떻게 작업하면 좋을지, 그리고 어떤 논의를 팀원 간에 주고받으면 좋을지 갈피를 잡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다음 스프린트 때는 저희 팀이 진전을 보여드릴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System에 대해 만족한다.
github 을 통해서 백로그 등 관리하는 것을 처음 사용해봤는데 편리합니다.
오늘 회고에서 나온 잡담방 생성이 되어 그곳에서 스터디 모집/자유로운 의견 공유 등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카톡방이 많거나, 잡담 등이 불편하신 분들께는, 필수 참여는 아닌 것으로 공지하여 선택적으로 참여하게 하면 상관없을 것 같습니다.) 이외에는 큰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될 수 있을 지 불안하다.
참여 전과 비교하여, 약 1달의 시간이 흘렀는데 큰 변화가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모두가 더 활발하게 참여하여 개발하는 시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오늘의 회고 및 잡담방 등 생성을 통한 교류 증진을 통해서 더 성장할 수 있는 그룹이 생성되면 좋겠네요! 저도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ㅎㅎ
System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코드 뼈대를 잘 잡아주셔서 보면서 공부하기 좋았어요 감사합니다!
불만 없었습니다!
에듀케이션 팀에서는 목표가 잘 잡히지 않았던것 같다고 느꼈습니다. 팀 간 의견을 쉽게 교환할수 있는 창구가 있으면 좋겠다 생각했습니다!
미래가 불투명해보인다.
온보딩이 힘들었다.
System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